본문 바로가기
경제,부동산,금융

2024 9월 재산세 납부기간과 카드 혜택 그리고 1년에 몇번 납부?

by 상쾌한큐 2024. 9. 24.
반응형

재산세납부기간

지난 7월에 이어 2번째 재산세를 납부하는 기간인 9월입니다. 주택을 소유한 재산세가 20만원 이상이면 7월에 이어 9월에 2회로 나눠 납부하게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4 9월 재산세 납부 기간과 카드 혜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24 재산세 계산기 바로가기

 

재산세란?

재산세는 매년 6월 1일을 기준으로 주택, 토지, 건축물, 선박 등의 재산을 가진 사람들이 관할 지방자치단체에 납부해야 하는 지방세의 일종입니다. 20만원 이상의 주택에 대한 재산세를 납부해야 한다면 7월에 절반을 내고 나머지 절반은 9월에 납부하게 됩니다. 토지를 가지고 있는 사람은 9월에만 재산세를 납부합니다. 

 

9월 재산세 납부기간

9월 재산세 납부기간은 9월 16일(월)부터 9월 30일(월)까지 15일에 걸쳐 납부하면 됩니다. 만약 납부기한 이후에 납부를 하게 되면 3%로 가산금을 추가로 부담해야 하며 45만원 이상 건에 대해서는 2달째 부터 매달 0.66%의 납부지연가산세도 납부해야 하니 기한내 납부하는 것이 좋습니다.

재산세 납부기간

만약 납부해야 할 재산세가 250만원을 초과하게 되면 관할 자치단체에 신청하여 납부세액의 일부를 12월 31일 이내까지 분할납부할 수 있습니다. 분할 납부 신청은 납부기한인 9월 30일 전에 관할 자치단체 시군구청에 방문하거나 이택스 또는 위택스 홈페이지에서 신청서를 제출하면 됩니다. 

 

9월 재산세 꿀팁(과세기준일, 카드혜택)

주택, 건축물, 토지, 선박을 소유하고 있다면 매년 재산세를 납부해야 하니 재산세를 아끼는 방법을 알아두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재산세는 과세기준일인 6월 1일 기준으로 재산이 있는지를 확인하고 과세를 하게 됩니다. 부동산 거래를 할 예정이라면 매도자는 6월 1일 이전에 잔금까지 처리 하는 것이 유리하며, 매수자 입장에서는 6월 1일 이후에 잔금을 주는 것이 재산세 과세에 유리합니다. 

 

그리고 재산세를 카드로 결제하면 여러 혜택을 볼 수 있습니다. 카드사 별로 혜택이 다르니 자신이 보유한 카드 중 유리한 카드로 결제하면 됩니다. 

 

9월 기준 카드 혜택을 알아보겠습니다. 

  • KB국민카드 : "직장인 보너스 체크카드"로 10만 원 이상의 재산세 결제 시 7천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단 전월 실적이 30만원 이상이어야 합니다.
  • 신한카드 : "신한 개인 체크카드"로 결제시 전체 납부 금액의 0.1%를 현금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급일은 10월 8일입니다. 
  •  우리카드 : 10개월 또는 12개월의 부분 무이자 할부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 10개월은 1~4회차 유이자, 5~10회차 무이자이며, 12개월은 1~5회차 유이자, 6~12회차는 무이자가 적용됩니다.
  • 하나카드 : 5만원 이상의 재산세를 할부 납부 시 10개월 또는 12개월의 부분 무이자 할부가 적용됩니다. 10개월은 1~4회차 유이자, 5~10회차 무이자이며, 12개월은 1~5회차 유이자, 6~12회차는 무이자가 적용됩니다. 
  • NH농협카드 : 5만원 이상 재산세를 할부 결제 시 최대 4개월 무이자 또는 최대 10개월 부분 무이자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자동차세나 재산세 같은 지방세는 카드로 결제 시 납부 대행 수수료가 없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종합소득세, 종합부동산세, 부가세 등의 국세는 재산세와 다르게 신용카드로 결제 시 0.8%의 수수료가, 체크카드는 0.5%의 수수료가 부담됩니다. 국민연금, 건강보험 등의 4대 보험료 역시 수수료를 부담해야 합니다. 

 

지방세와 국세 모두는 카드 등으로 납부를 완료하면 결제 취소가 되지 않으니 확인 후 결제를 해야 합니다.


지금까지  2024년 9월 재산세 납부 기간과 카드 혜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