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용한생활정보

입사일 퇴사일 확인 방법(고용 산재보험 토탈서비스)

by 상쾌한큐 2025. 3. 5.
반응형
입사일 퇴사일 확인 방법(고용 산재보험 토탈서비스)

입사일확인

예전에 다니던 회사의 입사일과 퇴사일이 기억나지 않아 답답하신 적이 있으신가요? 회사에 근무하는 근로자는 경력 증명, 퇴직금 정산, 실업급여, 이직 등 다양한 이유로 입사일과 퇴사일 확인이 필요할 때가 있습니다. 하지만 퇴사한지 오래 되어 예전 회사의 인사담당자에게 연락하기 난감할 수 밖에 없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잊어버린 입사일과 퇴사일을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입사일 퇴사일 확인 방법

입사일과 퇴사일을 확인하는 방법은 퇴사한 회사에 직접 연락하여 확인하면 됩니다. 그리고 건강보험, 국민연금, 고용보험, 산재보험의 가입 내역을 확인하여 입사일과 퇴사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건강보험공단이나 국민연금공단에서 입사일과 퇴사일을 자격득실 확인서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고용산재보험 토탈서비스"에서도 확인이 가능하며 한번에 모든 회사의 입사일과 퇴사일을 일괄로 확인할 수 있어 좀 더 간편합니다.

 

① 위 바로가기를 통해 고용 산재보험 토탈 서비스에 접속합니다. "고용 산재보험 자격 이력 내역서"를 클릭합니다.

② "개인"을 선택하고 "일반 근로자"를 선택합니다.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고 간편 인증을 통해 로그인합니다. 

③ "보험구분"과 "조회구분"을 선택하고 "조회"를 클릭합니다. 근무한 사업장명과 취득일(입사일), 상실일(퇴사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력 내역서가 필요한 경우 직접 출력하거나 이메일로 받을 수 있습니다.


입사일과 퇴사일은 다양한 상황에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고용 산재보험 토탈 서비스를 이용해 간편하게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지금까지 잊어버린 입사일과 퇴사일을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