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

10월1일 국군의날 임시공휴일 확정(10.1 임시공휴일)

by 상쾌한큐 2024. 9. 4.
반응형

10월1일 국군의날임시공휴일확정

지난 3일 국무회의에서 10월 1일인 국군의 날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의결하였습니다. 10월 1일 국군의 날과 임시공휴일 확정 관련 내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국군의 날

매년 10월 1일은 국군의 발전을 기념하기 위한 국군의 날입니다. 1956년 이승만 정부 시절 처음 제정되면서 지금까지 국군의 날을 기념해 오고 있습니다. 1976년부터 공휴일로 지정되었으나 1991년 노태우 정부부터는 쉬는 날이 많아 기업 생산성이 낮아지고 국가 경쟁력이 약해진다는 이유로 한국날을 포함해 공휴일에서 제외되었습니다. 한글날은 2013년부터 다시 공휴일로 지정되었으나 국군의 날은 여전히 공휴일에서 빠졌습니다.

국군의날임시공휴일

 

국군의 날 임시공유일 지정

정부는 지난 3일 국무회의를 통해 10월 1일인 국군의 날을 임시공휴일로 의결 했습니다. 국무총리는 "북한의 잇따른 도발과 중동분쟁 등 국내외 안보 상황이 매우 엄중한 시기다. 올해 국군의 날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 국가안보의 중요성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높이고, 우리 국군의 역할과 장병들의 노고를 상기하는 계기로 삼고자 한다"라고 언급했습니다. 당일 국무회의를 통해 의결된 임시공휴일 지정은 대통령의 제가를 거쳐 확정되었습니다. 

 

정부는 이번 국군의 날 임시공휴일 지정의 이유를 국가안보라고 언급했지만 보통 임시공유일 지정은 내부소비 진작을 통한 경제 유발 효과를 위한 경우가 많습니다. 작년에 이어 올해도 국군의 날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함으로서 경제적 효과는 클것으로 예상됩니다. 

국군의날 임시공휴일 확정

국군의 날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되면서 휴가가 자유로운 사람들이 9월 30일(월), 10월 2일(수), 10월 4일(금)을 휴가를 낸다면 최장 10일 간의 장기 휴가도 가능합니다. 9월의 5일간의 추석 연휴에 이어 10월의 퐁당퐁당 휴일는 자영업자들에게 매출 상승의 희소식이 될거라 기대하는 반응도 있습니다. 

 

2024년, 2025년 공휴일

2024년의 공휴일은 18일이었으나 이번 국군의날 임시공휴일 지정으로 하루가 늘어 총 19일이 되었습니다. 10월의 퐁당퐁당 연휴를 마지막으로 11월의 공휴일은 없어 12월의 크리스마스만 기다려야 합니다.

국군의날임시공휴일지정

그럼 2025년의 공휴일을 살펴보겠습니다. 2025년의 공휴일은 총 17일입니다. 어린이날과 부처님 오신날이 5월 5일 같은날이지만 부처님오신날이 대체공유일로 지정되어 총 4일간 연휴가 발생합니다. 그리고 10월에는 개천절, 추석, 한글날이 붙어 있어 7일간의 장기 연휴를 즐길 수 있습니다. 만약 2025년에도 10월 1일 국군의 날이 임시공휴일이 된다면 10월 2일을 휴가를 내면 9일간의 연휴를, 10월 10일까지 휴가를 낸다면 최고 12일까지 쉴 수 있습니다. 명절 차례 부담이 없고 유럽같이 장거리 여행을 계획하고 계시다면 내년 10월 노려보는 것도 좋겠습니다.  

10월1일임시공휴일지정


 

지금까지 10월 1일 국군의 날과 임시공휴일 확정 관련 내용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임시공휴일 지정을 통해 내부 경제 활성화는 물론 가족, 친구들과 행복한 시간을 가졌으면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