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내년인 2025년 최저임금이 결정 되었습니다. 170원이 올라 처음으로 1만원을 넘어 10,300원으로 정해졌는데요. 1만원을 넘어가면서 자영업자에게는 걱정이, 근로자들은 여유가 좀 생길 것 같습니다. 이번에는 2025년 최저시급이 얼마로 결정이 되는지 인상률은 어떻게 되고 최저 월급과 연봉은 어떻게 되는지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최저임금이란?
최저임금이란 국가가 노동자가 생활이 가능하도록 최소한의 임금을 정한 것입니다. 즉, 최소한의 인간적인 생활이 가능하도록 지급한 금액이 최저임금이며, 최저임금을 근로자에게 지급하라는 제도가 최저임금제입니다. 근로자가 생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노동 생산력을 올리는데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경제학자들은 노동 시장에서 노동의 대가를 최저한도로 지정한 것이라고 정의합니다.
2025 최저시급은 얼마?
2024년 올해의 최저시급은 9,860원입니다. 내년인 2025년의 최저시급은 올해보다 1.7%인상된 10,300원으로 정해졌습니다. 이에 따라 최저월급과 연봉과 주휴수당도 변동되겠습니다.
노동자를 대표하는 양민노총인 민노총과 한노총은 물가상승률보다 낮은 최저임금 인상률로 저임금 노동자들의 삶의 수준이 낮아질 수 있으므로 2024년보다 27.8% 오른 시급 12,600원을 요구하였습니다. 하지만 경영계 측에서는 1만원 이상의 시급을 지급하면 인권비 상승으로 경영난이 가중될 것이라고 비판 하며 임금 동결을 요구했습니다.
2021년 인상률 1.5% 다음으로 낮은 인상률인 1.7%로 투표를 통해 결정되었습니다. 노동계는 실질임금을 삭감하거나 다름없다고 얘기를 하며, 경영계는 주휴수당까지 더하면 실질임금은 12,000원이 넘는다고 주장합니다.
2025 최저시급에 인상에 따른 월급과 연봉은?
2025년의 최저시급 10,030원으로 인상되면서 8시간 기준 일급은 올해 대비 1,360원이 오른 80,240원이 되며, 최저 월급은 35,530원이 오른 2,096,270원이 됩니다. 그리고 최저 연봉은 25,155,240원이 됩니다.
연도 | 최저임금(시간급) | 인상률(%) | 일급(8H) | 월급(원, 209H) | 연봉(원) | 물가상승률(%) |
2025년 | 10,030 | 1.7% | 80,240 | 2,096,270 | 25,155,240 | |
2024년 | 9,860 | 2.5% | 78,880 | 2,060,740 | 24,728,880 | |
2023년 | 9,620 | 5% | 76,960 | 2,010,580 | 24,126,960 | 3.6 |
2022년 | 9,160 | 5% | 73,280 | 1,914,440 | 22,973,280 | 5.1 |
2021년 | 8,720 | 1.5% | 69,760 | 1,822,480 | 21,869,760 | 2.5 |
주휴 수당은 일주일 동안 15시간 이상 근무하는 노동자가 일주일동안 개근 시 받을 수 있는 수당입니다. 편의점 같은 5인 미만 사업장 등에도 모두 해당 됩니다. 주 5일동안 하루 8시간을 일하면 일주일 당 80,240원을 더 받아 월에 320,960원을 더 받을 수 있습니다. 최저 월급에 주유수당을 더하게 되면 최종 월급은 2,417,230원이 됩니다.
이상으로 2025년 최저시급이 얼마로 결정이 되는지와 최저 월급과 연봉은 어떻게 되는지 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경제,부동산,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카오뱅크 이체확인증 송금확인증 pdf 저장하기, 인쇄하기 (0) | 2024.07.31 |
---|---|
의외로 모르는 국민은행 공동(공인)인증서 발급 그리고 내보내기, 가져오기!! (0) | 2024.07.31 |
요즘 금한돈시세 오르는 까닭? 금시세닷컴, 한국금거래소 금시세1돈 비교 (1) | 2024.07.28 |
양천 호반써밋 목동 무순위 줍줍 84B!! 나도 청약 신청?? (0) | 2024.07.27 |
쉿! 나이스(NICE), KCB 신용점수 등급표 차이와 신용점수 올리기 방법? (0) | 2024.07.26 |